*
회복방송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“회복상담 방송의뢰”에 사연을 올려 주십시오!
회복모임에 참여하실 분은 “중독별 회복모임 답변광장”에 과제답변 바랍니다!
today_14 count_258462
신문/잡지 회복칼럼
이름
이메일
홈페이지
option
비밀글
글제목
글내용
<SPAN class=d_12_6D6765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여름방학이 되면 <FONT color=#013add>청소년 탈선 문제가 기승을 </FONT>부린다. 탈선 중의 하나는 <FONT color=#d801e5>마약남용</FONT>이다.<BR><BR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굳이 통계 수치가 아니더라도 <FONT color=#013add>상담전화를 받다보면 </FONT>한인사회에 청소년 마약남용 문제가 얼마나 <FONT color=#d801e5>심각한지를 실감할 </FONT>수 있다. <BR><BR>대부분 부모들은 자녀의 마약문제에 대해서 그 위험성과 두려움은 느끼면서도<FONT color=#013add> “저러다가 스스로 그만두겠지”</FONT> 하는 안일한 생각을 하는 것 같다. 어떤 부모는 <FONT color=#d801e5>수치심이 너무 심해서 </FONT>자녀를 회복기관으로 데려오지 못하는 경우까지 있다. <BR><BR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마약문제는 <FONT color=#013add>자녀뿐만 아니라 부모들도 함께 </FONT>실망과 좌절, 분노와 갈등으로 밝은 미래를 검게 물들인다. <BR><BR>평소에 공부를 잘하던 한 여학생은 친구가 <FONT color=#d801e5>이 약을 하면 밤에 잠이 덜 오고 정신이 맑아져서 공부를 더 잘 할 수 있다는 </FONT>말을 듣고 처음 암페타민을 복용했다가 <FONT color=#013add>5 년간 마약에 빠져 학업을 중단</FONT>해야 했다. <BR><BR>그 부모는 딸의 회복을 위해서 <FONT color=#d801e5>안 해본 일없이 다 해보다가 기진맥진 한 상태에서 </FONT>회복모임에 참석했다. 다행히 6 개월 만에 회복되어 <FONT color=#013add>다시 학업을 계속했고 </FONT>모녀는 방송에서 회복간증을 하기도 했다. <BR><BR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여학생은 회복 도중에 동부로 2 주일간 여행을 가게 되었다. 학생에게 <FONT color=#d801e5>고무 밴드를 </FONT>주면서 여행 중에 손목에 차고 다니다가 혹 마약 생각이 날 때는 <FONT color=#013add>“고무줄을 당겼다 놓아서 스스로 경각심을 가져보라”</FONT>고 했다. </SPAN> <BR><BR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여행 후에 <FONT color=#d801e5>“마약 없이도 재미나게 살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”</FONT>고 해서 동료 참석자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. <BR><BR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<FONT color=#307f00 size=2>이런 회복결실들이 다른 마약가정에 알려지면 회복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는데 왜 그러지를 못할까?</FONT> <BR><BR>바로 <FONT color=#013add>수치심과 사회적 통념 </FONT>때문이다. 아무리 회복을 돕는 기관에서 열심을 다해도 <FONT color=#d801e5>먼저 회복참여자가 마음을 열고 받아들여야</FONT> 회복이 되므로 마약에서 회복된 사람은 <FONT color=#013add>남들이 해내기 어려운 일을 해낸 영</FONT><FONT color=#013add>웅</FONT> 이다. </SPAN> <BR><BR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그런데 사회에서는 <FONT color=#d801e5>한번 마약을 했던 사람은 평생 못 고친다는 생각들을 </FONT>해서 회복된 것을 떳떳하게 말할 수도 없게 만든다. <BR><BR></SPAN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한인 부모들은 <FONT color=#013add>병원이나 합숙 치료만 하면 다 낫는 것으로 </FONT>생각하는 경향이 있다. <BR>병원치료나 주거치료에서는 <FONT color=#d801e5>사회와 격리된 상태에서 치료를 </FONT>하기 때문에 다 회복된 것 같다가도 집으로 돌아오면 <FONT color=#013add>현실에 대한 충격으로 곧바로 마약을 </FONT>하는 경우가 많다. </SPAN> <BR><BR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반면 회복모임 참석자들은 <FONT color=#d801e5>회복 중에 재발도 </FONT>되지만 마음만 먹으면 마약을 할 수 있는 <FONT color=#013add>실제상황 속에서 회복하기 때문에</FONT> 회복결과는 <FONT color=#d801e5>학교나 직장으로 복귀하는 실제 삶으로 </FONT>이어진다. <BR><BR><FONT color=#307f00 size=2>그래서 병원 또는 주거치료를 마친 다음에는 반드시 회복모임에 참여해야만 좋다.</FONT></SPAN> <BR><BR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* 이글은 필자가 2005년 7월 1일자 미주 한국일보에 기고한 글로, <BR>다음을 클릭하시면 인터넷 한국일보에서 그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.</SPAN> <BR><BR><FONT size=2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<FONT color=#d801e5>▶</FONT><A href="http://www.koreatimes.com/articleView.asp?id=254585"><FONT size=1><FONT face=돋움> <FONT color=#013add>인터넷 한국일보 -</FONT><FONT color=#013add> </FONT></FONT></FONT></A></SPAN></FONT><FONT color=#013add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<A href="http://www.koreatimes.com/articleView.asp?id=254585"><FONT size=1><FONT face=돋움><FONT color=#013add>마약 하는 </FONT><FONT color=#013add>자녀와 부모의 수치심</A></SPAN></FONT></FONT></FONT></FONT><FONT color=#013add> <BR><BR></FONT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이해왕 선교사</SPAN> <BR><SPAN style="FONT-SIZE: 12px; COLOR: #000000; LINE-HEIGHT: 19px; FONT-FAMILY: '굴림'; TEXT-ALIGN: justify">한인 중독증회복 선교센터 </SPAN> </SPAN>
첨부파일
1. 2. 3. ※ 파일용량이 2,000,000 Byte 이상일 경우 업로드되지 않습니다
비밀번호
All contents (c) Copyright 2004 WERECOVERY reserved. For help with your payment, contact / counsel@irecovery.org